본문 바로가기
생활상식(정보), 잡학다식

□ 우리나라 화폐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산안법사!!! 2025. 2. 26.
728x90
반응형
SMALL

 

우리나라 화폐의 역사는 고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변화를 거쳐왔습니다.

아래에 각 시대별 화폐의 특징을 정리하고, 표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화폐사진


1. 고대 및 삼국 시대 (기원전 ~ 10세기)

  • 조개화폐 & 물품화폐: 삼국 시대에는 곡식, 천(베), 조개껍데기 등을 화폐처럼 사용했습니다.
  • 당나라 화폐 유입: 신라 후기에는 중국 당나라의 동전(전황, 해동통보 등)이 유입되었습니다.

2. 고려 시대 (918~1392)

  • 철전(鐵錢)과 은병(銀甁, 고려 은화): 고려 시대에는 최초의 자체적인 금속 화폐인 ‘건원중보’(996년)를 주조하였고, 이후 은병(곡식 모양의 은화)도 사용되었습니다.
  • 저화(楮貨, 지폐): 13세기 후반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고려에서는 종이돈인 ‘저화’를 발행했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못했습니다.

3. 조선 시대 (1392~1897)

  • 조선 전기: 조선 초기에는 주로 곡물과 포(베)가 화폐로 사용되었습니다.
  • 상평통보(常平通寶, 1678년 발행): 조선 후기에는 상평통보라는 동전이 널리 사용되었으며, 본격적인 화폐 경제가 발달하였습니다.
  • 조선 후기 지폐(호조태환권, 대동폐): 19세기 말, 근대적인 지폐 개념이 도입되었습니다.

4. 대한제국 및 일제강점기 (1897~1945)

  • 백동화와 원화 도입: 대한제국 시기에는 '백동화'와 ‘대한국제’가 발행되었으나, 일본의 경제 침탈로 인해 일본 제국 은행권이 강제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조선은행권(1910~1945):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은행에서 발행한 지폐가 유통되었습니다.

5. 대한민국 화폐 (1945~현재)

  • 한국은행권 (1950~현재)
    • 1950년: 대한민국 중앙은행 ‘한국은행’이 설립되어 공식 화폐 발행
    • 1962년: 원(Won) 단위 개편 (환 → 원)
    • 1970년대~현재: 10원, 50원, 100원, 500원 동전과 다양한 지폐 발행
    • 현재: 1,000원(이황), 5,000원(율곡 이이), 10,000원(세종대왕), 50,000원(신사임당) 사용

한국 화폐 역사 요약 (표로 정리)

시대 주요화폐 특징 및 설명
삼국 시대 조개화폐, 포(베) 물물교환 중심
고려 시대 건원중보, 은병 고려 최초의 금속 화폐
조선 시대 상평통보 조선 후기 대표적 동전
대한제국 대한국제, 백동화 근대적 화폐 발행
일제강점기 조선은행권 일본 경제 지배
대한민국 원(₩) 한국은행 발행, 현재 사용

위의 내용처럼 우리나라 화폐는 시대별로 다양한 변화를 거쳐 발전해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