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안법사의 안전이야기...

□ 교량 시공방법 및 사고 사례, 원인대책!!!

by 산안법사!!! 2025. 2. 25.
728x90
반응형
SMALL

교량 시공 설치 공법

교량 시공 설치 공법은 교량의 규모, 현장 여건, 경제성,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이 선택됩니다. 주요 교량 설치 공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교량시공

1. 거더 (Girder) 공법

거더교는 가장 일반적인 교량 형식 중 하나로, 강재 또는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하여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입니다.

  • 프리캐스트 거더 공법
    •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거더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크레인이나 이동식 지보 시스템을 이용해 설치하는 방식
    • 장점: 공기 단축, 품질 관리 용이
    • 단점: 거더 운반 및 인양에 따른 제약 발생
  • 현장 타설 거더 공법
    •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직접 타설하여 거더를 제작하는 방식
    • 장점: 현장 적응성이 높고 다양한 형태의 교량 건설 가능
    • 단점: 타설 및 양생 시간이 필요하여 공기가 길어질 수 있음

2. 가설 트러스 공법

교량 시공 중 임시로 트러스를 설치하여 교량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현장 조립이 가능하여 고소 작업을 줄일 수 있음
  • 단점: 가설 트러스 설치 및 해체에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이 필요

3. FCM (Free Cantilever Method, 자유 가설 공법)

FCM은 주로 긴 경간의 PSC (Prestressed Concrete) 교량에서 사용되며, 교각 위에서 좌우로 균형을 맞추며 교량을 건설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교각 간격이 길거나 하천, 계곡을 가로지를 때 유리함
  • 단점: 균형 유지 및 정밀한 관리가 필요

4. ILM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압출 공법)

이 공법은 교량의 한쪽 끝에서부터 연속적으로 제작된 거더를 밀어내어 시공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지형적 장애물이 많은 지역에서 적용 가능 (예: 강, 협곡)
  • 단점: 초기 투자비가 높고, 정밀한 압출 관리가 필요

5. MSS (Movable Scaffolding System, 이동식 비계 시스템 공법)

MSS는 거푸집을 이동시키며 연속적으로 교량을 시공하는 방식으로, 장경간 및 고속도로 교량에 주로 사용됩니다.

  • 장점: 연속 시공이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음
  • 단점: 장비 초기 설치비가 높고, 유지 관리가 중요

교량 건설 사고 사례 및 원인과 대책

1. 인도 콜카타 비바디 사장교 붕괴 사고 (2016년)

  • 사고 개요:
    • 2016년 인도 콜카타에서 건설 중이던 사장교가 붕괴하면서 26명이 사망
    • 공사 중이던 교량이 갑자기 무너짐
  • 원인:
    • 부실한 설계 및 시공
    • 시공 중 안전 점검 미흡
  • 대책:
    • 강도 분석을 통한 적절한 설계 기준 적용
    • 시공 중 철저한 품질 관리 및 정기 점검 시행

2. 미국 플로리다 국제대학(FIU) 보행교 붕괴 사고 (2018년)

  • 사고 개요:
    •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건설된 보행교가 개통 전에 갑자기 붕괴하여 6명이 사망
  • 원인:
    • 거더의 균열을 방치하고 공사를 지속
    • 하중 분석 부족
  • 대책:
    • 프리캐스트 구조물 설치 전 철저한 사전 점검 필수
    • 균열 발생 시 즉각적인 보수 및 구조적 안전성 평가 필요

3. 한국 성수대교 붕괴 사고 (1994년)

  • 사고 개요:
    • 서울 성수대교의 상판이 붕괴하여 32명 사망
  • 원인:
    • 용접 부위의 부실 시공 및 재료 결함
    • 정기적인 점검 부족
  • 대책:
    • 노후 교량에 대한 정기적인 유지보수 및 안전 점검 강화
    • 신뢰성 있는 재료 사용 및 시공 품질 관리 철저

4. 중국 마오펑 교량 붕괴 사고 (2021년)

  • 사고 개요:
    • 중국 광둥성에서 교량이 붕괴하여 차량이 추락하는 사고 발생
  • 원인:
    • 과적 차량이 지속적으로 통행하면서 하중이 증가
    • 내구성 부족으로 인한 구조물 손상
  • 대책:
    • 차량 하중 제한을 위한 관리 강화
    • 교량 내구성 및 유지보수 시스템 개선

결론

교량 건설 시공법은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각 방식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현장에 적합한 공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건설 중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철저한 설계, 시공 품질 관리, 유지보수가 필수적입니다.

특히, 과거의 사고 사례를 분석하고 반복되지 않도록 예방 조치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