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안법사의 안전이야기...

□ 연돌 효과에(Stack Effect)대해서 여러분은 아시나요?

by 산안법사!!! 2025. 4. 15.
728x90
반응형
SMALL

🔥 연돌효과(Chimney Effect, Stack Effect)의 정의

연돌효과란, 건물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공기가 수직 방향으로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특히 겨울철, 실내는 따뜻하고 실외는 차가운 경우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아래쪽에서 외부의 찬 공기를 끌어들이고, 위쪽으로 빠져나가는 공기 흐름이 형성됩니다. 이때 고층건물에서는 공기 이동이 더욱 커져 연돌효과가 강하게 나타납니다.

이 현상은 마치 굴뚝(chimney)에서 더운 공기가 위로 빠져나가는 원리와 비슷해서 ‘연돌 효과’라고 부릅니다.


⚠️ 연돌효과 발생 시 문제점

  1. 연기 확산 가속화 (화재 시 위험)
    • 화재 발생 시 뜨거운 연기가 위층으로 빠르게 퍼져 인명 피해를 키움.
    • 특히 계단실, 엘리베이터 샤프트 등을 통해 급속하게 확산됨.
  2. 에너지 손실
    • 실내의 따뜻한 공기가 빠르게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난방 에너지 손실이 커짐.
    • 난방 효율이 떨어져 비용이 증가함.
  3. 냄새 및 오염물질 확산
    • 아래층의 악취, 연기, 주방 냄새 등이 위층으로 전달되어 거주환경 악화.
  4. 실내 기압 불균형
    • 고층 건물 내 상하층 간 기압 차가 생겨 문이 잘 열리지 않거나 갑자기 열리는 문제 발생.
  5. 환기 시스템 작동 오류
    • 설계된 환기 흐름이 연돌효과에 의해 왜곡되며, 흡기와 배기가 역류하는 현상 발생.

🛠️ 연돌효과 방지 대책

  1. 출입문 및 개구부 기밀성 강화
    • 외부와 연결된 문, 창문 등에 기밀재를 설치하여 공기 누설을 최소화.
  2. 방연구획 및 방화셔터 설치
    • 화재 시 연기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방연벽, 방화문, 방화셔터 설치.
    • 특히 수직 공간(계단실, 엘리베이터 등)엔 필수.
  3. 차압 시스템 적용
    • 화재 시 연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계단실 등에 양압을 유지하여 역류 방지.
  4. 적절한 환기 시스템 설계
    • 기계 환기를 통해 공기 흐름을 제어하고, 연돌효과로 인한 자연 유동을 최소화.
  5. 건물 상·하부에 공기 차단 장치 설치
    • 하부 흡입구 및 상부 배출구의 공기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댐퍼(damper) 설치.
      연돌효과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