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작곡가와 작사가들이 받는 노래 저작권료는 곡의 인기, 사용 방식, 매체 노출 빈도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아래에 저작권료의 산정 방식과 지급 방식, 그리고 수익 규모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1. 저작권료의 종류와 수익 구조
작곡가/작사가는 기본적으로 음악의 저작권자로서 다음과 같은 경로를 통해 저작권료를 받습니다:
💡 주요 수익원
- 공연권료
- 노래가 공연장, 카페, 노래방, 방송 등에서 공연될 때 발생.
- 사용자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KOMCA)나 유사 단체에 사용료를 납부.
- 복제권료
- CD, 음반, USB, 음원 등 물리적 복제 매체에 사용될 경우.
- 음반 제작사로부터 발생.
- 전송권료 (스트리밍/다운로드)
- 멜론, 지니, 유튜브뮤직 등에서 곡이 스트리밍/다운로드될 경우.
- 이용자 결제금액에서 일정 비율이 저작권료로 환산됨.
- 편곡 및 2차 저작물 사용료
- 원곡을 샘플링하거나, 광고/영화/드라마 배경음악(BGM)으로 사용할 때 발생.
- 해외 수익 (해외에서 사용될 경우)
- KOMCA가 외국 음악저작권 단체들과 맺은 상호계약을 통해 정산됨.
💰 2. 저작권료 수익 규모 (예시)
곡 하나로 얼마를 버는지는 매우 천차만별입니다. 예시를 보면 이해가 쉬워요 :
구 분 | 설 명 |
🎵 신인 작곡가 | 1년에 수백~수천만 원 수준 |
🎵 중견 작곡가 | 곡당 월 수백만 원 이상 가능 |
🎵 히트곡 작곡가 | 연 수익 수억 원도 가능 (ex. 조영수, 박진영, 유영진 등) |
🔹 예시: **버스커버스커 ‘벚꽃엔딩’**의 경우 매년 봄마다 재생되어 ‘봄의 연금’이라고 불릴 정도로 저작권 수익이 높음. 연 수익 3~5억 이상 추정됨.
📝 3. 저작권료 지급 방식
1) 저작권 관리단체에 등록
- 대부분의 작곡가/작사가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KOMCA)**에 회원 가입함.
- KOMCA는 국내 음원 사용 데이터를 집계하고, 수익을 배분해 저작권자에게 정산.
2) 수익 분배 비율
- 기본적으로 작사, 작곡 각각 50%씩 배분 (편곡가 제외).
- 곡에 공동작업자가 많을 경우, 각자의 지분율에 따라 나눔.
- 예: 작사 2인, 작곡 2인 → 작사 각 25%, 작곡 각 25%
3) 지급 시기
- KOMCA는 보통 **분기별(3개월 단위)**로 저작권료를 정산해 지급함.
- 일부 수익은 월 단위 정산도 있음 (특정 사용처에 따라 다름).
📌 4. 저작권료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① 작사/작곡 후 음악 발매
- 음원이 정식 발매되어야 저작권이 유효하게 발생.
✔️ ② 저작권 등록
- KOMCA 등에 저작권을 등록해야 관리 및 수익 배분 가능.
✔️ ③ 사용처 확대
- 스트리밍 서비스, 유튜브 업로드, 공연, 방송 삽입 등 최대한 많은 경로에서 사용될수록 수익 증가.
🎤 보너스 : 실시간 수익 확인도 가능?
KOMCA 회원은 회원 포털을 통해 월별, 곡별 수익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어떤 방송사에서, 어떤 플랫폼에서 곡이 많이 나왔는지도 확인 가능해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생활상식(정보), 잡학다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아파트 관리비에 있는 장기수선 충당금에 대해 얼마나 아시나요? (4) | 2025.04.07 |
---|---|
□ 새우젓의 종류에 대해 얼마나 아시나요? (0) | 2025.04.06 |
□ 차기 여권 대선 후보(잠룡)는 누가 있을까? (6) | 2025.04.04 |
□ 라마단에 대해서 얼마나 아시나요? (2) | 2025.04.02 |
□ 왜 간암 환자들은 배에 복수가 차고, 눈에 황달이 생길까? (4)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