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상식(정보), 잡학다식

□ 왜 머리 위에 핸드폰을 놓으면 진동을 못 느끼는 걸까?

by 산안법사!!! 2025. 3. 25.
728x90
반응형
SMALL

머리 위에 핸드폰을 올려두면 진동을 느끼기 어려운 이유는 인체의 감각 신경 분포골 구조 때문이에요. 

 

🎯 1. 감각 신경의 분포 차이

우리 몸에는 진동, 압력, 온도 등을 감지하는 다양한 감각 수용기(mechanoreceptors)가 있습니다. 이 중 진동을 감지하는 대표적인 수용기는 파치니 소체(Pacinian corpuscles)인데, 이 수용기는 주로 손바닥, 발바닥, 팔, 허벅지 같은 부위에 밀집해 있습니다.

하지만 두피와 두개골 주변에는 이런 진동 수용기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대신, 통증이나 온도를 감지하는 자유 신경 종말이 더 많아요. 그래서 머리 위에 올려둔 진동은 느끼기 힘든 거죠.


🧠 2. 두개골의 특성

핸드폰 진동은 사실 기계적 진동 에너지가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원리인데, 머리 위에는 두꺼운 두개골이 바로 아래에 있습니다. 두개골은 단단하고 밀도가 높아서 진동을 흡수하거나 분산시켜 버리기 때문에, 피부가 떨리는 정도가 약해져요.

반대로 손처럼 뼈가 덜 두껍고 말랑한 살이 있는 부위는 진동이 고스란히 전달되기 때문에 훨씬 더 잘 느껴지죠.


🔍 3. 위치와 감각 방향

진동은 진동원이 피부에 밀착된 정도자극 방향에 따라서도 느껴지는 강도가 다릅니다. 머리 위에 핸드폰을 올려두면 수직 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데, 이 경우 두피가 위아래로 미세하게만 움직이고, 수평 방향으로 퍼지지 않아 진동 감각이 약해져요.


💡 정리하면

  • 머리 위는 진동 감각 수용기가 적어서 감지 능력이 약하고,
  • 두개골이 진동을 흡수하거나 분산시켜 전달력이 떨어지기 때문이에요.
  • 진동 방향이 수직으로 전달되면 더더욱 느끼기 어려워지죠.핸드폰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