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상식(정보), 잡학다식

□ 경제 뉴스에서 흔히 나오는 매파와 비둘기파는 무슨뜻 일까?

by 산안법사!!! 2025. 3. 21.
728x90
반응형
SMALL

경제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매파"**와 **"비둘기파"**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방향을 설명할 때 쓰는 용어입니다. 각각의 의미를 자세히 풀어볼게요!


🎯 1. 매파 (Hawkish)

  • 뜻: 매는 날카롭고 공격적인 이미지로, 매파는 강경한 통화정책을 지지하는 쪽을 말합니다.
  • 정책 방향:
    •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올려 경제 활동을 둔화시킴.
    • 긴축 정책: 시중에 풀린 돈을 줄이기 위해 유동성을 조이거나, 자산 매입을 축소(양적 긴축)하는 방식.
    • 목표: 인플레이션 억제, 통화 안정성 유지, 경제 과열 방지.

대표적인 인물 예시:
과거 미국 연준(Fed) 의장이었던 폴 볼커 — 1980년대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급격히 인상한 인물입니다.


🕊️ 2. 비둘기파 (Dovish)

  • 뜻: 비둘기는 온순하고 평화로운 이미지죠? 비둘기파는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지지하는 쪽입니다.
  • 정책 방향:
    • 금리 인하: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낮춰 대출을 늘리고 소비와 투자를 촉진.
    • 완화 정책: 시중에 돈을 더 풀거나(양적 완화), 자산 매입을 확대해 경제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유도.
    • 목표: 경기 회복, 실업률 감소, 경제 활성화.

대표적인 인물 예시:
미국 연준 전 의장인 재닛 옐런 — 완화적인 정책을 통해 고용 시장을 개선하고 경기 회복을 이끈 인물입니다.


🔥 매파 vs 비둘기파 비교 정리

항목 매파 (Hawkish) 비둘기파 (Dovish)
기조 강경, 긴축 완화, 부양
금리 방향 금리 인상 금리 인하
목표 인플레이션 억제 경기 부양, 고용 확대
유동성 축소 (긴축) 확대 (완화)

이 두 개념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결정에 따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매파적인 발언이 나오면 주식 시장이 위축되고, 비둘기파적인 발언이 나오면 시장이 활기를 띠는 경향이 있죠.

🚀✨.

비둘기
비둘기파
매

 

728x90
반응형
LIST